한 걸음씩 기록하며
[동적 메모리 할당, 가비지 컬렉션, 이중 연결 리스트] 본문
0. 선행 지식
*정적 메모리 할당
- 동적 메모리 할당과 반대되는 개념
-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 받는 것을 말함
- 처음에 결정된 크기의 값 만을 처리함
1. 동적 메모리 (Dynamic Memory Allocation)
동적 메모리 할당이란 프로그램이 실행 도중에 동적으로 메모리를 할당 받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에서는 필요한 만큼의 메모리를 시스템으로부터 할당을 받아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메모리를 반납한다.
- 운영 체제의 힙 영역의 메모리를 할당 받아서 사용한다.
- 힙 메모리 : 메모리를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동적으로 결정하는 경우 사용되는 공간
- 필요한 만큼만 할당 받고, 반납함으로써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 유연한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운영체제에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알려주어야하며, 할당된 메모리의 주소를 알아야 사용할 수 있다.
- 동적 메모리는 malloc() 계열의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하여 할당 받고, free() 함수를 통해 기어 공간을 해제한다.
- 동적 메모리의 사용이 끝나면 해당 메모리 영역을 명시적으로 반납을 해줘야한다.
- 간단하게 동적 메모리 할당을 비유하면, 수납 공간에서 물건을 꺼내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 수납 공간에서 물건을 꺼내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다시 수납 공간에 물건을 놓아야한다.
*MMU (Memory Management Unit) / 메모리 관리 장치
- CPU 코어 안에 탑재되어 가상 주소를 실제 메모리 주소로 변환해주는 장치
*Break
- MMU가 있는 시스템의 경우 필요할 때 break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모리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Heap Area
- 프로세스 실행 중에 malloc, new 등의 동적 메모리 할당 요구를 수용하는 데이터 영역 공간이다.
- break 값에 의해 그 끝을 나타내며 공간 부족 시에 주소가 커지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 좀 더 효율적인 메모리 할당을 위해 아래와 같이 노드와 문자열을 동시에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2. 가비지 컬렉션 (Garbage Collection)
사용이 끝난 객체를 알아서 메모리 공간에서 지워주는 것
- C, C++은 사람이 직접 메모리 관리를 해야했다.
- 사람이 직접 해야하니 성능상의 이점은 있지만, 코드 작성 난이도가 높아지고 실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약점이 존재했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바, 파이썬,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언어들은, 사람을 대신하여 메모리 관리를 하여 필요없는 메모리를 정리 도구를 만들어낸다. 이것이 바로 카비지 컬렉터이다.
- 가비지 컬렉터의 기본적인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여러 방식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아래의 두 가지 방식에 근거한다.
- 기본적으로 한 가지 방식만으로 가비지 컬렉터를 구현하지 않고, 둘 다 사용하여 상호 보완한다.
2.1 Reference Couting
- 선언하는 모든 객체들에게 레퍼런스 카운트라고 하는 숫자를 별도로 준다.
- 처음 선언할 때는 1이며, 참조되는 곳이 늘어날 때마다 +1 해준다.
- 레퍼런스 카운트 값이 0이 되는 순간 메모리에서 지워진다.
*레퍼런스 카운팅의 문제 :순환 참조를 만들면 계속 메모리에 남게 된다.
- 위와 같이 상호 참조, 순환 참조가 생기면 레퍼런스 카운팅의 문제가 생긴다.
- 이러한 문제가 생기면 프로그래머가 해당 객체에 접근할 방법이 사라지고, 사이클을 풀어낼 방법이 없게 된다.
- 이런 경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에는 계속 메모리가 남게 된다는 단점이 생기고, 이는 메모리 누수의 원인이 된다.
2.2 Mark & Sweep
- 레퍼런스 카운팅 방법을 보완하는 것이 바로 마크 앤 스윕 방식이다.
- 간단하게 말하면, 가비지 컬렉터가 객체를 돌아다니면서 마크를 하고, 마크가 안되어 있는 것은 지워버리는 방식이다.
- 이 방식은 매번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가비지 컬렉터를 실행시켜야한다.
- 위의 그림에서 we are here 라는 위치에서 마크 앤 스윕을 실행시켰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 우선 이 방식은 시작하는 노드가 필요하다. 위의 사진에서는 Root가 노드이다.
- 상위 코드가 없는 경우 시작하는 노드와 연결된다.
- a, b가 선언될 때 상위 코드가 없어서 노드와 연결되었고, 그 후에 a가 b블 참조하고 있다.
- we are here에서 마크를 시작하면, 루트와 연결된 그래프를 순회하면서 마킹을 한다.
- a, b는 루트와 연결되어있으므로 마킹이 된다.
- 마킹이 끝나면 스윕이 시작된다.
- 스윕은 그래프가 아닌 모든 스코프를 순회한다.
- a,b는 마킹이 되어있으므로 삭제되지 않는다.
- 우선 이 방식은 시작하는 노드가 필요하다. 위의 사진에서는 Root가 노드이다.
- 그러나 만약 스코프 안이 아니라, 바깥에서 마크 앤 스윕이 선언되었다고 가정한다면, a,b는 Root와 끊어진 상황일테니, 마킹이 안되고 전부 스윕되게된다.
- 이 방식은 순환 참조가 되어도 삭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3. 이중 연결 리스트 (doubly linked list)
- 이중 연결 리스트는 각 노드가 선행 노드와 후속 노드에 대한 링크를 가지는 리스트이다.
- 위의 그림처럼 노드의 왼쪽 링크와 오른쪽 링크가, 각각 다른 노드의 링크들과 연결되어있고, 헤드도 노드로 이루어져 있다.
- 기존의 연결 리스트는 노드 중간에 삽입과 삭제가 어려웠다.
- 그러나 이중 연결 리스트는 리스트 전체를 방문하지 않아도 원하는 위치에 노드를 쉽게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삽입 연산
- 삭제 연산
참고 및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4HHnXGIb9IM
https://www.youtube.com/watch?v=j9Vncn04GsE
'CS & SW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ean Architecture]란 무엇인가 (0) | 2022.02.27 |
---|---|
[프로세스와 스레드]란 무엇인가 (0) | 2022.02.24 |
[아날로그 처리 방법] (0) | 2022.02.11 |
[양방향, 단방향 암호화]란 무엇인가 (0) | 2022.01.30 |
[순차 논리] 시간 표현과 상태 기억 (0) | 2022.01.29 |
Comments